
"회사에서 즐겁게 일하는 사람들은 어디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저 생계를 위해 일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일 자체에서 의미와 즐거움을 찾기도 합니다.
과연 어떤 차이점이 있는걸까요? 핵심은 '내재동기'입니다.
스스로의 선택과 성장을 통해 의미를 찾는 것이죠.
박정효 아키텍트 : 내재동기를 발휘하고 있는 사람들의 특성이 세 가지 있습니다.
한 가지가 자율성, 주도성이 되게 높다 라는 거죠.
프리랜서가 되는 직장인이 되든 어쨌든 과업들이 떨어집니다. 또는 요청을 받기도 하잖아요?
그러면 보통은 이거를 그냥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이 있고요.
어떤 사람은 시키는 것 내에서 내가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합니다.
"내가 어떤 방식으로 이걸 해볼까?", "내가 뭔가 주도적으로 하고 있구나"
이럴 때 사람들이 내재동기에 힘을 받게 된다고 이야기 합니다.
"적성에 안 맞으면 그만 두십시요"
박정효 아키텍트 : 양쪽 다 안 좋은 거 같아요. 회사 입장이나 팀 입장에서도
주변 사람 입장에서도 너무 안 좋고요. 그리고 본인 입장에서도 너무 안좋기 때문에..
과연 본인이 본인 적성을 정확히 알고 있느냐? 라는 거에요.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본인 강점이나 또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기술이나
또는 지식이나 다른 관점에서 적성 빼고 이 일을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포커스가 얼마나 핏 하냐에 집중하는 게 아니구요. 내가 그걸 어떻게 잘 할 수 있을까?
이걸 잘 하기 위해서 내 강점을 뭘 쓸 수 있을까?, 내 기술을 뭘 쓸 수 있을까?
내가 어떤 공부를 해야 될까? 이렇게 집중해보는 겁니다.
발행일 2025.03.06
PD 박근영
출연 박정효 김대연
"회사에서 즐겁게 일하는 사람들은 어디든 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저 생계를 위해 일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일 자체에서 의미와 즐거움을 찾기도 합니다.
과연 어떤 차이점이 있는걸까요? 핵심은 '내재동기'입니다.
스스로의 선택과 성장을 통해 의미를 찾는 것이죠.
박정효 아키텍트 : 내재동기를 발휘하고 있는 사람들의 특성이 세 가지 있습니다.
한 가지가 자율성, 주도성이 되게 높다 라는 거죠.
프리랜서가 되는 직장인이 되든 어쨌든 과업들이 떨어집니다. 또는 요청을 받기도 하잖아요?
그러면 보통은 이거를 그냥 시키는 대로 하는 사람이 있고요.
어떤 사람은 시키는 것 내에서 내가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합니다.
"내가 어떤 방식으로 이걸 해볼까?", "내가 뭔가 주도적으로 하고 있구나"
이럴 때 사람들이 내재동기에 힘을 받게 된다고 이야기 합니다.
"적성에 안 맞으면 그만 두십시요"
박정효 아키텍트 : 양쪽 다 안 좋은 거 같아요. 회사 입장이나 팀 입장에서도
주변 사람 입장에서도 너무 안 좋고요. 그리고 본인 입장에서도 너무 안좋기 때문에..
과연 본인이 본인 적성을 정확히 알고 있느냐? 라는 거에요.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본인 강점이나 또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기술이나
또는 지식이나 다른 관점에서 적성 빼고 이 일을 어떻게 하면 잘 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포커스가 얼마나 핏 하냐에 집중하는 게 아니구요. 내가 그걸 어떻게 잘 할 수 있을까?
이걸 잘 하기 위해서 내 강점을 뭘 쓸 수 있을까?, 내 기술을 뭘 쓸 수 있을까?
내가 어떤 공부를 해야 될까? 이렇게 집중해보는 겁니다.
발행일 2025.03.06
PD 박근영
출연 박정효 김대연